top of page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2025: LITTLE TOAD LITTLE TOAD

 

Category

Client

Location

Year

Photography

Image

​​​

​​​

Exhibition, Objet

Arts Council Korea

Venice, Italy

2025

Yongjoon Choi ⓒKorean Pavilion 2025

ATELIER KHJ

​​​​

Korean Pavilion_30_(c) Yongjoon Choi.jpg

2025년 베니스 비엔날레 제19회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 Little Toad, Little Toad: Unbuilding Pavilion

기간 : 2025.05.10. - 2025.11.23.

장소 : 이탈리아 베니스 자르디니 한국관

예술감독 : CAC(Curating Architecture Collective: 정다영, 김희정, 정성규)

참여 건축가/작가 : 김현종(아뜰리에케이에이치제이), 박희찬(스튜디오히치), 양예나(플라스티크판타스티크), 이다미(플로라앤파우나)

커미셔너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새로운 항해>

재료 : Stainless steel, Fabric

사이즈 : 980 x 440 x 190cm

제작 및 설치 : 이뉴어

구조 자문 : 터구조

패브릭 협찬 : 헬리녹스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한국관이 처음 개관한 이후, 30년이 흘렀다. 그동안 한국관은 한국 건축과 현대미술의 정체성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개관 이래 한국관은 그 자체로 상징적 건축물이자,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국제 예술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왔다.

한국관의 가장 두드러진 건축적 특징은 그 형태에 있다. “배”를 형상화한 디자인은 한국이 바다를 통해 외부 세계와 교류해 온 역사와, 그로 인한 글로벌 연결의 의지를 건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물의 도시 베니스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여, 두 지역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형상화한 듯하다. 배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문화적, 역사적 교차로로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한국관의 설계는 당시의 정치적 맥락을 섬세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폴대’는 장식적 기능을 넘어, 한국과 일본 간의 역사적, 정치적 관계를 건축적으로 구현한 요소이다. 공동 설계자인 프랑코 만쿠조의 증언에 따르면, 고 김석철 건축가는 일본관의 지붕보다 높게 폴대가 올라가도록 의도적으로 설계하여  한국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강조했다. 이는 한국관이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그 시대의 문화적, 정치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새로운 항해>는 한국관의 숨겨진 건축적 근원을 되짚고, 그 가능성을 재구성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프로젝트이다. 특히 한국관 개관 이후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옥상 전시실에 주목하여, 이를 재구성하고 기능적인 공간으로 변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초기 도면에서 제시된 그리드를 차용하여 확장의 형태로서 새로운 증축을 구상한다. 그동안 여러 차례 증축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던만큼, 이번 전시를 통해 지붕이라는 건축적 요소로 증축의 희망을 형상화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의 확장에 그치지 않고, 배를 연상시키는 구조적 형태를 통해 새로운 미래로의 연결을 상징한다. 

구조물의 곳곳에 연결된 돛은 한국관의 새로운 항해를 위한 염원의 상징으로, 잃어버린 돛을 다시 달고 새롭게 떠오를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 폴리싱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주변 환경을 흡수하고 경계를 모호하게 만듦으로써, 국가적 영역을 넘어 그 의미와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는 더 이상 국가관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에 얽매이지 않고, 문화와 담론의 새로운 흐름을 창조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한국관의 30년 역사는 단순히 한 건축물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온 과정이 아니라, 한국과 타 국가, 개인과 사회 그리고 문화를 잇는 중요한 문화적 여정이었다. 이 과정 속에서 한국은 무엇을 잃었고, 무엇을 되찾아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해왔다. ‘새로운 항해’는 여정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며, 더 이상 국가 간 경계나 구분이 중요한 의미를 갖지 않는 시대에, 모든 국가관들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함께 나아갈 길을 찾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이 정신을 바탕으로 한국관의 미래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지 더욱 기대된다.

<New Voyage>

Material : Stainless steel, Fabric

Size : 980 x 440 x 190cm

Metalwork and Installation : Injuer

Structure Consultation : Teo Structure

Fabric Supported by : Helinox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in 1995, 30 years have passed. Over this period, the pavilion has become a key platform for showcasing the identity of Korea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t on the global stage. Since its inauguration, the Korean Pavilion has stood as a symbolic architecture, continuously evolving and asserting its relevance within the global art scene.


The most distinctive architectural feature of the Korean Pavilion lies in its form. The design, shaped like a "ship," seems to architecturally express Korea's historical engagement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ocean, and its aspiration for global connectivity. At the same time, it appears to reflec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Venice, a city defined by water, establishing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two places. The ship transcends being a mere means of transportation, delivering profound symbolic significance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crossroads.

Moreover, the pavilion's design subtly reflects the political context of its time. One notable element is the flagpoles, which, beyond their decorative function, embody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co-architect Franco Mancuso's testimony, the late architect Kim Seok Chul deliberately designed the flagpoles to extend higher than the roofline of the Japanese Pavilion, emphasizing Korea's identity and independence. These gestures reveal that the Korean Pavilion is not just a venue for exhibitions, but also a reflection of the cultural and political backdrop of its era.


'New Voyage' begins with the intent to retrace the pavilion's hidden architectural origins, reconfigure its potential, while exploring new possibilities. This initiative particularly focuses on the rooftop exhibition space, which has remained underused since the pavilion's opening, aiming to reconstruct and transform it into a renewed, functional space. The project also incorporates the recurring grid motif that is evident from the early designs in the archive, conceptualizing a new roof structure as a form of expansion. Despite several discussions about expansion over the years, no physical alterations have been made until now. Through this exhibition, the roof becomes a symbol of the unfulfilled aspiration for expansion. However, this is not merely a physical extension; rather, it represents a connection to a new future through a structural form reminiscent of a ship.


The sails attached throughout the structure symbolize the Korean Pavilion's yearning for a new voyage, signifying its readiness to sail forward with renewed purpose. Additionally, by using polished stainless steel as the primary material, the pavilion absorbs its surroundings, blurs boundaries, and extends its meaning and scope beyond national territorialism. This represents an attempt to break free from the traditional notion of national pavilions, fostering a new current of culture and discourse.


The 30-year history of the Korean Pavilion is not merely a process of architectural structure evolving over time, but a cultural journey that has connected Korea with other nations, as well as individuals, societies, and cultures. Throughout this journey, Korea has continually reflected on what has been lost and what must be reclaimed. 'New Voyage'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chapter, conveying the message that, in an era where national boundaries and distinctions are no longer the defining framework, all pavilions must seek new directions and find a shared path forward. In this spirit, the futur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avilion is something we look forward to with great anticipation.  

© 2025 ATELIER KHJ.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